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들뜬 할러데이 시즌…남은 건 빚더미

올해 많은 소비자가 할러데이 시즌을 마무리하며 새로운 빚을 떠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정보 플랫폼 렌딩트리가 지난 23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시즌 전체 소비자 중 36%가 할러데이 소비로 인해 부채가 증가했다.   이들이 평균적으로 떠안은 부채는 1181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28달러보다 15% 증가했으나 2022년의 1549달러에 비해선 감소한 수치다.   특히 할러데이 부채를 떠안은 이들 중 44%는 빚을 지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렌딩트리의 수석 신용 분석가 매트 슐츠는 “이번 시즌이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재정적으로 부담스러웠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높은 물가가 여전히 가계에 큰 문제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슐츠는 “어려운 한 해를 마무리하며 기쁨을 나누고 싶은 마음에 약간의 추가 부채를 감수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할러데이 시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부채를 떠안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48%가 부채가 생겼다고 답했다. 성인 자녀를 둔 부모나 자녀가 없는 이들은 부채 발생 비율이 각각 30%, 29%에 그쳤다.   이에 상응하듯 세대별로는 어린 자녀를 두고 있을 확률이 타 세대보다 높은 밀레니얼 세대(28~43세)의 할러데이 부채 발생 비율이 42%로 가장 많았으며, X세대가 37%, Z세대는 34%, 베이비부머 세대는 29%였다.     한편 연말 소비로 인한 부채는 보다 신속히 처리할 것이 권장됐다. 렌딩트리에 의하면 할러데이 기간 발생한 크레딧카드 부채를 가진 이들 중 42%는 20%가 넘는 연체이자율(APR)을 감당하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할러데이 기간 빚을 지는 소비자들은 부채가 다음 해의 할러데이 시즌까지 이어질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개인 재정 플랫폼 월렛허브는 실제로 소비자의 절반은 지난해 연말 연휴 동안 발생한 빚을 여전히 갚고 있다고 최근 조사 결과에서 밝힌 바 있다.   지속된 소비 증가에 소비자들에게 부채 상환은 이미 주요 목표로 자리 잡았다. 뱅크레이트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신년 재정 목표로 부채 상환을 가장 많이 꼽기도 했다.   슐츠는 빚을 갚고자 한다면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부채 상환에 성공했을 때 비로소 재정적 자유를 느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12개월 또는 15개월 동안 이자율이 0%인 밸런스 트랜스퍼 카드 등의 프로모션을 활용해 빠르게 부채 규모를 줄여가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할러데이 빚더미 할러데이 시즌 할러데이 부채 할러데이 소비

2024-12-29

올 연말에 경기 하강 전망…소매점 대대적 세일 준비

인플레이션으로 위축된 소비를 끌어올리기 위해 소매업체들이 이번 할러데이시즌에 할인율을 대폭 확대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CNBC가 최근 공급업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따르면, 업체 3곳 중 2곳은 할러데이시즌에 소비자들이 할인 판매 업소를 찾을 것으로 봤다. 소매 업체들은 디스카운트 제품을 찾는 고객의 발길을 잡기 위해서 할인 폭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수년간 지속한 고물가로 인한 소비자 구매력 약화한 데다 예상된 경기 하강 시점과 할러데이시즌이 겹칠 수 있다는 점을 꼽으면 할인율 상향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일부 소매업체들은 부담스러운 창고 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소매업체의 재고떨이도 할인 폭 상향에 일조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는 CNBC 조사와도 일치한다. CNBC의 자료에 의하면 인플레이션 탓에 할러데이 소비가 줄 것으로 예상하는 업체들의 비율은 무려 71%에 달했다. 또한 할러데이 소비 패턴에 대한 물음에 67%는 ‘소비자들이 더 큰 할인을 기대할 것’이라고 답했다. 강한 소비력이 유지될 것으로 응답한 비율은 13%에 그쳤다.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는 원인은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를 나타내는 지표가 나오고 있지만, 기준금리가 아직 높으며 경기 하강 우려도 남아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경기 하강을 점친 이코노미스트들과 월가 전문가들이 꼽은 시점은 할러데이시즌이 본격 시작하는 11월이었다.   소비 감소를 우려한 소매업체들은 지난해보다 더 적은 재고를 비축할 것이라고 답했다. 전체의 43%로 가장 많았다. 동일하게 주문할 것이라고 한 업체는 26%, 더 많이 할 예정이라고 답한 업체는 21%에 불과했다. 할러데이시즌 전체 구문 품목의 대다수가 중저가 품목이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할러데이 소매업체 할러데이 할인폭 소매업체들 할인 할러데이 소비

2023-06-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